1주차 : 웹종강의
웹종강의를 듣는다. 이후 toy 프로젝트를 하는 팀 vs 안 하는 팀이 나뉘는데 나는 안 했었다.
1주차 평가 : 이범규 튜터님은 강의를 진짜 잘하신다. 스파르타코딩의 대표강의라고 하는데, 확실히 강의 내용도 좋고, 재밌게 가르쳐서 흥미도 생기게 해주신다.
만족도 : 9점
주의사항 : 2주차가 넘어갈 때, 깃을 따로 가르쳐주진 않는데, 무조건 숙지 해야한다. 2주차가 간략하게 협업을 하는데, 깃을 할 줄 모르면 조별과제로 치면 말이나 채팅없이 하는 거다.
항해에서 따로 시키지 않았는데, 나는 이때 깃 공부 열심히 안 한 걸 후회했다. 결국 가면 익숙해 지지만, 다른 걸 배우는 시점에서 git까지 하려면 너무 힘들다.
2주차 : 풀스텍
1주차때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Full-Stact 프로젝트를 한다. 결국 웹종강의를 얼마나 반복했는가? , toy프로젝트를 해봤는가? , 깃을 잘 쓰는가? 이거 3개로 실력이 나뉜다.
이거 본다는 거 자체가 비전공자일 확률이 높다. 풀스텍이란 웹페이지를 서버쪽 or 프론트쪽 가리는 거 없이 기능별로 나누어서 만든다고 생각하면 된다. 이때 사실 못해도 괜찮은데, 코드를 치는데 익숙해지는 단계라 생각하면 된다.
물론 잘할수록 좋다.
이때 풀스텍 전에 이미 백엔드 프론트엔드 선택해라 했는데 검색해보고 끌리는 거 가면 된다.
나는 프론트를 했다.
만족도 : 7
주의사항 : 다음주에 대비할 것은 없다. 다만 전 주에 깃 공부 안 했으면 힘들었을 것 이다.
3주차 : 알고리즘
달리기반 걷기반 나눠서 코딩 문제를 풀게 했다. 솔직히 달리기반 vs 걷기반 개인의 입장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.
걷기반을 가서도 잘하게 되면 어려운 걸 풀면 되는거고, 달리기반에서 자기가 부족하면 쉬운걸 풀면 된다.
이 쯤되면 반복문 개념이 잡혔을 텐데, 반복문 보다는 함수형으로 풀면 나중에 더 도움된다.
map 과 filter는 알아두면 좋은듯.
자기가 문제푸는 것도 좋은데 남이 어떻게 푸는지 알아서 효율적인지를 확인하면 좋음
만족도 : 8
주의사항 : 검색하면 답이 잘 나온다. 근데 이거 너무 의존하면 실력 발전이 없는듯. 괜히 몇 문제 풀었는지에 집중 하지말고, 각 문제에서 내가 멀 배웠는지에 집중하면 좋을듯
4~6주차 : 주특기
항해측에서 제공하는 강의 퀄리티는 굉장히 낮다. 차라리 외부 강의가 더 좋은게 많다.
이 부분은 항해측에서 피드백이 되었으면 좋겠다
커리큘럼도 환불 문제 떄문인지 모르겠는데 5주차가 딱 환불금액이 달라지는 시기라서, 5주차 과제가 다른 주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쉬웠다. 그러다 보니 6주차때 학습해야할 양이 너무 많았다.
주특기 전체 내용을 10이라고 쳤을 때
첫 주차 : 3 두번째 : 2 세 번쨰 : 5
이렇게 배웠다. 3 3 4정도로 했으면 수강생들이 더 효율적으로 학습했을 것 같다.
이때쯤부터 자기부족함이 많이 느껴진다. 항해측에서 하루 12시간 을 강제시키는데 보통 자발적으로 14~15시간씩은 공부하게 됨. 그 전주차부터 이렇게 열심히했다면 더 편했을 듯.
만족도 : 5
주의사항 : 외부강의를 잘 찾는 것도 효율적인 학습법인듯. 항해 자료 너무 의존하지 말자
항해의 장점은 좋은 커리큘럼 보단 빠른 피드백이다. 불만이 생기면 최대한 빨리 따져라,
'항해99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실전 프로젝트 끝나고 회고록. (0) | 2023.03.20 |
---|---|
실전 프로젝트가 끝나고 보완해야할 부분. (0) | 2023.03.18 |
혼자 끄적대는 혼공자 6-3 ~7장 객체와 배열고급 (0) | 2022.12.22 |
6-2 객체의 속성과 메소드 사용하기 설명 보조자료 (0) | 2022.12.21 |
6-1 객체의 기본 설명자료 (0) | 2022.12.19 |